보훈공단,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과 탄소중립체험 나서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이사장 윤종진, 이하 보훈공단)은 지난 10월 31일(금) 원주시 기후변화 홍보관에서 지역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탄소중립 문화체험 행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체험 행사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들에게 환경을 생각하는 문화체험 기회를 확대하고, 탄소중립 실천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전달하기 위해 마련됐다. 보훈공단은 이번 행사를 통해 원주시 취약계층 아동 및 청소년들 20여 명과 △기후변화 홍보관 전시 관람 △미디어 프로그램 △4D 영상 시청 등 탄소중립체험을 실시하고, 참여자들에게 학업 도움이 될 수 
                            
                        
                                IBK기업은행,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 출시
                                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지난 3일 해군·해병대 간부 특화 카드 ‘BOC(福) 카드(Blue Ocean navy&marine Car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대상은 해군·해병대 장교, 부사관, 군무원이다. ‘BOC(福) 카드’는 해군·해병대 복지시설과 군 관사 관리비 결제 시 3%, KTX·주유 7%, 통신비 10% 등 할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훈련 등으로 장기간 카드 이용이 어려운 군 간부를 위해 사전 등록 시 최장 3개월 동안 실적과 무관하게 할인 혜택을 준다. 특히 기업은행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평택, 화성
                            
                        
                                예스24, 제복근무자 위한 ‘특별 팝업 전시’ 개최… 감사 편지 이벤트 실시
                                문화콘텐츠 플랫폼 예스24가 국가보훈부와 함께 ‘마이 히어로북’ 캠페인을 전개하고, 도서 기부를 연계한 감사 편지 이벤트와 오프라인 팝업 전시를 실시한다.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화책 ‘마이 히어로북’은 예스24 전국 6개 오프라인 서점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신간서점 ‘강서NC점’과 중고서점 ‘수영점F1963’에서는 11월 한 달간 특별 팝업 전시가 개최된다. 예스24는 보다 많은 시민들이 제복근무자들의 이야기를 접할 수 있도록 제복근무자별 대표 도서 5권을 무료 전자책(eBook)으로도 제공할 예정이다. 더불어 제복근무자
                            
                        2025년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하며 전월과 동일한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통계청이 2일 발표했다.
2025년 4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하며 전월과 동일한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통계청이 2일 발표했다.
이번 상승은 서비스(2.4%), 공업제품(1.5%), 전기·가스·수도(3.1%), 농축수산물(1.5%)의 전반적인 가격 상승에 기인했으며, 특히 개인서비스 부문은 3.3% 오르며 상승세를 주도했다. 반면 농산물과 신선식품 가격은 전월보다 각각 1.8%, 4.3% 하락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으나 전월보다 0.1% 하락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년 대비 1.9% 떨어졌으며, 신선과실과 채소는 각각 5.5%, 1.9% 하락해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 지역별로는 대구가 2.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제주(1.4%)는 가장 낮았다.
지출목적별로는 음식·숙박(3.2%), 기타 상품·서비스(4.9%), 교육(2.8%) 등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상승했으며, 교통(-0.4%)과 식료품·비주류음료(-0.6%)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가공식품(4.1%)과 외식(3.2%) 부문은 지속적인 가격 상승을 보였다.
공공서비스는 전국적으로 전월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개인서비스는 대부분 지역에서 상승했다. 특히 울산(0.9%), 인천·대전(0.8%)은 상승폭이 컸다.
통계청은 “전반적인 물가 상승세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지만, 일부 품목군의 가격 변동성은 여전히 크다”며 “앞으로의 물가 추이를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