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산업 ‘2025 부산 국제수산엑스포’ 참가… K-Seafood 수출 앞장
                                동원산업(대표이사 박상진)이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부산시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부산 국제수산엑스포(BISFE)’에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   부산 국제수산엑스포는 25개국 420개 수산기업과 기관이 참석하는 아시아 3대 수산 무역박람회다. 동원산업은 이번 전시에서 국내산 참다랑어, 연어 등 다양한 수산식품을 국내외 주요 바이어와 유관기관에 선보이고 ‘K-Seafood’의 경쟁력을 알린다는 목표다.   동원산업은 행사 첫날 동해안 참다랑어의 해체쇼와 시식회를 진행한다. 동원산업은 최근 해양수산부, 지자체 등과 동해
                            
                        여성가족부는 제30회 양성평등주간을 맞아 9개 영역 44개 지표를 분석한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을 발표하며, 지난 10년간 우리 사회의 성별 구조 변화와 생활상을 조망했다.
`2025 통계로 보는 남녀의 삶`
이번 통계는 인구·가구 구성, 노동시장, 일·생활 균형, 의사결정 참여 등 주요 지표에서 남녀 간 격차가 줄고, 특히 여성의 사회·경제 활동이 눈에 띄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8세 미만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구 비율은 58.5%로 2015년 47.2% 대비 11.3%포인트 늘었다.
특히 자녀 연령이 6세 이하인 경우 맞벌이 비율은 53.2%로, 같은 기간 15.1%포인트 급증했다. 이는 양육기에도 부부가 함께 경제활동을 이어가는 추세가 뚜렷해졌음을 보여준다.
1인 가구 역시 크게 증가해 2024년에는 804만 5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36.1%를 차지했다. 2015년 520만 가구 대비 1.5배로 늘어난 셈이다.
남성 1인 가구는 30대 비중이 21.8%로 가장 높았고, 여성은 60대가 18.7%로 최다였다. 이는 청년층 독립과 고령층 여성의 단독 거주가 동시에 확산되는 흐름을 반영한다.
노동시장에서는 여성의 고용률 상승이 두드러졌다. 2024년 15~64세 여성 고용률은 62.1%로 2015년보다 6.4%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남성은 0.9%포인트 늘어나는 데 그쳤다.
특히 30대 초반 여성 고용률은 73.5%로, 10년 새 13.9%포인트 급등했다. 상용근로자 비율도 여성은 55.1%로, 2015년보다 12.0%포인트 늘어 안정적 고용이 크게 개선됐다.
근로시간 역시 줄었다. 2024년 6월 기준 남성의 월 평균 실근로시간은 153.8시간, 여성은 137.4시간으로 10년 전보다 각각 25.4시간, 27.6시간 감소했다.
기혼 여성의 경력단절 비율은 15.9%로, 2015년 21.7%에 비해 5.8%포인트 줄며 경력단절 문제 완화도 확인됐다.
육아 관련 제도 활용도 활발해졌다. 2024년 육아휴직급여 수급자는 총 13만 3천 명으로, 이 중 남성이 4만 2천 명에 달하며 처음으로 4만 명을 돌파했다.
전체 수급자 중 남성 비율은 31.6%로, 대기업 위주의 활용이 두드러졌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수급자도 2만 7천 명에 달해 2015년 대비 여성은 12.4배, 남성은 19.2배 증가했다.
의사결정 구조에서도 여성의 진출이 두드러졌다. 2024년 4급 이상 국가공무원 중 여성 비율은 26.3%로 10년 전의 2배를 넘었으며, 지방공무원 5급 이상 여성 비율은 34.6%로 같은 기간 23.0%포인트 늘었다.
공공기관 여성 관리자 비율 역시 25.4%로, 2015년 15.9%에서 9.5%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삶의 만족도를 살펴보면 1319세와 60세 이상에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만족도가 높았으나, 3050대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애 주기별 성별 만족도 차이를 드러내는 지표로 주목된다.
여성가족부는 "가족형태, 경력단절, 일·생활 균형, 대표성 등 국민 삶과 밀접한 사회 현상을 세심히 분석해 정책적 대응을 이어가겠다"며 "특히 성평등을 기반으로 실질적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