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K-서울모델 세계대회’ 성료… 서울에서 세계로, 세계가 서울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이 세계 패션과 문화의 중심 도시로 우뚝 섰다. 지난 10월 29일~30일 서울 송파구 호텔 파크하비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25 K-서울모델 세계대회(KOMI, K-Seoul Model International Contest)’가 전 세계 40여 개국의 모델, 귀빈, 패션 관계자, 국내외 언론이 참석한 가운데 성대히 막을 내렸다. 이번 대회는 서울특별시가 공식 후원하고, K-서울모델 세계대회 조직위원회가 주최, 인터내셔널 슈퍼퀸 모델협회가 주관한 국제 문화행사로, ‘K-컬처의 중심, 서울에서 세계로’를 슬로
                            
                        
                                동원산업 ‘2025 부산 국제수산엑스포’ 참가… K-Seafood 수출 앞장
                                동원산업(대표이사 박상진)이 오는 5일부터 7일까지 부산시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리는 ‘2025 부산 국제수산엑스포(BISFE)’에 참가한다고 4일 밝혔다.   부산 국제수산엑스포는 25개국 420개 수산기업과 기관이 참석하는 아시아 3대 수산 무역박람회다. 동원산업은 이번 전시에서 국내산 참다랑어, 연어 등 다양한 수산식품을 국내외 주요 바이어와 유관기관에 선보이고 ‘K-Seafood’의 경쟁력을 알린다는 목표다.   동원산업은 행사 첫날 동해안 참다랑어의 해체쇼와 시식회를 진행한다. 동원산업은 최근 해양수산부, 지자체 등과 동해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A 노선이 개통 1년 만에 누적 이용객 770만 명을 넘어서며 수도권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국토교통부는 1일, 수서∼동탄 구간 개통 1주년과 운정중앙∼서울역 구간 개통 3개월 성과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3월 30일 수서∼동탄 구간을 시작으로 순차 개통된 GTX-A 노선은 지난 1년간 총 7,710,783명의 이용객을 기록했다. 수서∼동탄 구간은 약 410만 명이, 지난해 말 개통된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3개월 만에 약 360만 명이 이용했다.
특히, 하루 평균 이용객은 수서∼동탄 구간에서 11,214명,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은 39,321명으로 집계됐다. 평일 기준으로 수서∼동탄 구간은 예측치 대비 75.1%, 운정∼서울역은 91.1%에 이르는 실적을 기록하며 안정적인 정착세를 보였다.
수요 증가에 따라 이용객 수도 급증했다. 개통 초기였던 2024년 4월 초 주간단위 일평균 이용객은 7,700명이었지만, 1년 뒤인 지난 3월 말에는 약 62,000명으로 8배 이상 늘었다. 특히 킨텍스∼서울역, 운정중앙∼서울역 구간이 전체 이용객의 39.1%를 차지하며 중심 축으로 부상했다.
이용 시간대별로는 평일 오전 79시, 오후 57시 등 출퇴근 시간대에 집중됐고, 주말에는 오후 3~6시 이용이 가장 많았다. 요일별로는 금요일이 이용객 비중 16.4%로 가장 높았고, 일요일이 11%로 가장 낮았다. 킨텍스 등 주요 행사장 접근성이 향상되면서 주말 여가 목적 이용도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GTX 개통은 이동 시간 단축에서도 큰 성과를 보였다. 운정에서 서울역까지는 기존 지하철 46분, 광역버스 66분이 소요됐으나 GTX를 이용하면 22분으로 줄었고, 수서∼동탄도 75분에서 21분으로 단축됐다.
정부는 승객 편의 개선을 위해 열차 운행 횟수를 지속 확대했다. 수서∼동탄은 52회에서 60회, 운정중앙∼서울역은 112회에서 141회로 증회되었으며, 출퇴근 시간 배차 간격도 10분에서 6.25분으로 줄였다. 구성역과 연신내역은 출입구를 추가 개방했고, 동탄역 연계버스 및 도로 개통, 운정중앙역 PBRT 노선 신설 등 접근성 개선도 이뤄졌다.
GTX-A는 지난 1년간 총 278만 km를 무사고로 운행했으며, 주요 역사에는 안전요원을 집중 배치해 철도사고 ‘제로’를 달성했다. 비상상황 대응 훈련도 정기적으로 실시 중이다.
미개통 구간인 창릉역은 지난 3월 말 착공되었으며, 삼성역은 2026년 무정차 통과, 2028년 완전 개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GTX-A가 서울과 경기도 남북부의 출퇴근 문제 해소에 기여하고 있다”며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남은 구간도 적기에 완공해 더 많은 국민이 GTX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