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대형 지반침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굴착공사장 전수 합동점검에 나섰다. 시는 올해 4월부터 12월까지 ‘지하안전평가 대상’인 깊이 10m 이상 굴착공사장 127곳을 대상으로 현장 점검을 실시해, 공사 중 발생할 수 있는 지하안전 리스크를 사전에 차단한다는 계획이다.
토사 노출 구간 조치 필요 (개선 전/후)
서울시에 따르면 점검은 상·하반기로 나누어 진행 중이며, 상반기에는 자치구 요청을 반영해 51곳을 우선 점검했다. 이 가운데 192건의 지적 사항을 즉시 개선 조치했으며, 나머지 50건에 대해서도 보완 이행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있다. 하반기에는 나머지 76곳을 대상으로 점검을 마무리해 연내 127개소 전수점검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점검에는 서울시 지하안전과 소속 ‘지하안전자문단’ 전문가를 비롯해 사업 인허가부서와 자치구 지하안전부서가 함께 참여한다. 점검단은 현장에서 ①지하안전평가 협의 및 재협의 이행 여부, ②지하안전조사 적정성, ③계측기 관리 상태, ④공사장 안전관리 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점검하고 있다.
상반기 점검 결과, 주요 지적 사항은 흙막이 벽체 및 차수 공법 등 지반 안전성 관리 미흡 84건, 계측기 보호·잠금장치 관리 소홀 39건, 안전망 미설치 등 현장 안전관리 미흡 98건, 기타 21건 등으로 집계됐다.
서울시는 2020년부터 굴착공사장 합동점검을 실시해왔으며, 지난해부터는 ‘표본조사’에서 ‘전수조사’ 방식으로 전환해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또한 주기적인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병행해 공사장 주변의 지하공동(空洞) 위험을 조기에 파악하고 있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도심 지반침하 사고의 상당수는 노후된 상하수도관에서 비롯되지만, 인명피해를 동반하는 사고는 굴착공사장에서 주로 발생한다”며 “서울시는 정기 점검과 GPR 탐사를 병행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지하안전망을 촘촘히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